건강팁

냉방병 목아픔 증상, 초기에 치료 받아야만한다?

나몰팁 2022. 8. 7. 17:45
반응형

 

 

계속되는 목 아픔과 기침 혹시 나도 냉방병?


 

 

 

 

요즘 같은 여름철 누구나 의심되기 쉬운 냉방병,

하지만 코로나와 혼동되기쉬워 증상 유무를 확실하게 자가진단 할 줄 알아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예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어떠한 증상인지부터 확실하게 알아두는 것이 중요하겠지요.


 

출처: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냉방병이란?

 

냉방이 된 실내와 실외의 온도 차가 심하여 인체가 잘 적응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가벼운 감기, 몸살, 권태감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여름철 기온차가 심한 실내와 실외를 자주 왔다 갔다 하신다면 의심하시길 바랍니다.

 

 

 

 


 

 

초기 증상

 

 

 

1) 호흡기 증상


감기와 비슷한 증세가 많습니다. 그래서 더욱 파악하기 어렵고,

두통이나 콧물, 재채기, 코막힘의 증상을 주로 호소하는데, 몸이 나른하고 쉽게 피로해지고 두통이 흔합니다.

손발이 붓거나 어깨와 팔다리가 무겁고, 허리나 무릎, 발목 등의 관절이 무겁게 느껴지며 심할 때는 통증이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2) 위장 장애


소화 불량과 하복부 불쾌감이 있고, 심하면 설사를 하기도 합니다.

 



3) 여성의 추가 증상


여성은 남성보다 냉방병에 취약하여 생리가 불규칙해지거나 생리통이 심해지기도 합니다.

 



4) 만성 질병의 악화


이미 만성 질병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면역 기능이 떨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냉방병의 영향이 더 심할 수 있습니다.

 

 


 

원인

 

우리가 흔히 냉방병이라고 부르는 것의 원인은 3가지로 구분됩니다.

 

 

1) 과도한 실내외 기온차

2) 레지오넬라증

3) 밀폐 건물 증후군

 

 

 

1. 과도한 실내외 기온차

 

우리의 몸은 순응’이라는 과정을 통해 외부의 온도에 맞추어 적응을 해가는데 그 기간은 약 1~2주 정도입니다.

냉방이 잘 된 실내와 높은 기온의 실외에 지내는 것을 반복하게 되면서, 다시 말해 여름의 고온에 대한 적응 과정을 반복하면서 우리 몸의 자율신경계가 지치게 되는데, 이때 바로 ‘냉방병’에 걸리게 됩니다.

 


 

2. 레지오넬라증

 

일종의 전염성 질환으로 이 균은 냉각기 내에서 잘 서식하고, 같은 냉각기를 사용하는 건물 전체에 퍼지게 되며 특히 허약자나 면역 기능이 약화된 사람에서 주로 감염됩니다.

 


 

3. 밀폐 건물 증후군

 

시원한 실내 온도를 유지하게 위해서 환기를 제대로 하지 않을 때 주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창문을 열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 환기와 냉난방을 중앙집중적으로 관리하는 빌딩에서 흔히 잘 발생합니다.

여러 유해물질을 포함하는 담배 연기는 물론이고 사무실 내의 가구나 카펫, 페인트나 접착제, 복사기 등에서 발생하는 화학성분들이 환기가 제대로 안 되어 실내에 계속 쌓이기 때문입니다.

 

 

 

 


 

 

▶  감기와 냉방병은 어떻게 구분해요?

 

 

감기 

일반적으로 감기는 감기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하며, 증상도 목의 통증, 열, 기침, 콧물 등의 '호흡기 증상'이 대부분입니다.

 

냉방병

하지만 냉방병은 에어컨을 사용할 때 부쩍 어지럽고 머리가 아프거나, 코와 목이 마르고 불편한 느낌을 받을 수 있으며, 감기에 걸린 듯 춥고, 어지럼증, 변비, 복통도 일어나는 등 전신에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알레르기 증상과 유사한 콧물, 코막힘, 목 아픔, 눈 충혈이 동반되기도 한다. 온도 변화로 말초 혈관이 수축해 얼굴, 손, 발 등이 붓는 것도 냉방병의 증상입니다.

정리하자면 감기는 대부분 호흡기 쪽에서 발생하고,

냉방병은 대부분 전신에 증상이 나타납니다.

 

 

 


 

출처:픽사베이

 

자칫하면 사망까지 이른다?

 

 

에어컨의 차가운 바람에 의해 우리 몸의 항상성이 깨지는 것뿐 아니라 에어컨의 냉각수에 서식하는 레지오넬라균도 냉방병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레지오넬라균이 공기 중으로 퍼져 호흡기에 감염되면 이를 레지오넬라증이라 한다. 2~12일 정도 잠복기를 거친 후 고열, 기침, 근육통 등 독감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다 폐렴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심하면 사망합니다.

 

 

 


 

https://imtip7.tistory.com/28

 

냉방병 증상 예방 및 치료 총정리!

냉방병은 무엇보다 예방이 제일 중요합니다. 우선 실내외의 온도 차이는 5~6℃ 이내로 하고, 과로를 하지 않는 등 몸의 면역력 유지에 주의해야 합니다. 다음에는 한두 시간마다 정기적으로 실내

imtip7.tistory.com

 

 

냉방병 치료에 도움 되는 약이 있나요?

 

 

냉방병에는 특별한 치료 약은 없지만, 실내외 기온 차를 5도 이하로 유지하고, 1시간마다 환기를 해주는 것이 약 복용보다 확실한 효과입니다.

 

 

 

 

 

 

또한, 2주에 한 번씩 에어컨 필터를 청소하면 레지오넬라균이 퍼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냉방병 증상이 나타날 때는 에어컨을 끄고 온찜질이나 따뜻한 차를 통해 몸을 따뜻하게 해야 합니다. 1년에 2~4회 냉각수 교체 및 소독을 하면 레지오넬라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